DEVLOG|개발 블로그

Angular에서 Transition 사용법과 이해

July 28, 2021 11:28 AM:angular

트랜지션

여기에서는 컴포넌트가 생성될 때 fade-in-out을 적용시켜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예제에 대해서 기록한다. 앵귤러에서 트랜지션을 사용하는 방법과 다른 프레임워크와의 트랜지션 적용에 대한 차이점도 기록한다.

초기 구성

트랜지션을 적용시키기 위해 최상위 모듈에서 BrowserAnimationsModule을 추가해야한다. 해당 모듈을 imports 프로퍼티에 추가한다.

import { BrowserAnimationsModule } from '@angular/platform-browser/animations'

@NgModule({
  imports: [BrowserAnimationsModule]
})
export class AppModule {}

위 모듈을 추가시키면 @angular/animations 패키지 내 여러 심볼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컴포넌트 구축

버튼을 누르면 boolean 타입인 값이 트리거되는 간단한 컴포넌트를 만든다.

import { Component, OnInit } from '@angular/core'

@Component({
  selector: 'app-transition-button',
  template: `
    <button (click)="handleClick()">
      Transition {{ active | activeText }}
    </button>
    <app-transition-text *ngIf="active"></app-transition-text>
  `,
  styles: []
})
export class TransitionButtonComponent implements OnInit {
  active = false

  constructor() {}

  ngOnInit(): void {}

  handleClick() {
    this.active = !this.active
  }
}

해당 템플릿에서 TransitionText 컴포넌트는 active 값에 의해 렌더링되거나 렌더링되지 않는다. 즉 active 값이 트리거될 때마다 트랜지션이 적용된다.

import { Component, OnInit } from '@angular/core'

@Component({
  selector: 'app-transition-text',
  template: ` <p>Hello I'm Transition Text (fade)</p> `,
  styles: []
})
export class TransitionTextComponent implements OnInit {
  constructor() {}

  ngOnInit(): void {}
}

active 값에 의해 트리거되는 컴포넌트도 간단히 텍스트만 추가해서 작성한다.

적용

트랜지션의 대상이 될 컴포넌트에서 @angular/animations 패키지의 여러 함수들을 임포트한다.

import { trigger, state, style, animate, transition } from '@angular/animations'

@Component({
  animations: [
    state(
      'active',
      style({
        opacity: 1
      })
    ),
    state(
      'inactive',
      style({
        opacity: 0
      })
    ),
    transition('active => inactive', [animate('500ms')]),
    transition('inactive => active', [animate('500ms')])
  ]
})
export class TransitionText {}

state 함수는 상태에 대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는 함수다. 위 예제에서 상단에 active 상태인 스타일을 정의할 때 사용된 state 함수는 첫번째 인자로 상태의 이름을 지정하고, 두번째 인자에서 트랜지션이 완료된 시점의 스타일을 style 함수로 지정한다. 아래 transition 함수는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에서 전환될 때, animationdelay, duration, timing-function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첫번째 인자로 상태의 흐름을 문자열로 주면된다. (매우 직관적임)

transition('active => inactive, inactive => active', [animate('0.5s')])

위와 같이 여러 상태에 대한 animation을 설정할 수도 있다.

transition('* => *', animate('0.5s ease'))

와일드카드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상태에 대해 트랜지션을 적용한다. 모든 애니메이션 메타데이터는 @Component 데코레이터의 animations 프로퍼티에 작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트리거를 작성한다.

trigger('trans', [
  state(
    'open',
    style({
      opacity: 1,
      color: 'red'
    })
  ),
  state(
    'close',
    style({
      opacity: 0,
      color: 'blue'
    })
  )
])

해당 트리거의 이름은 trans다. 추후에 트리거 이름으로 DOM에 바인딩 시킨다. 해당 트랜지션 트리거의 상태는 openclose가 존재한다. 각각의 스타일은 투명도와 색상 지정뿐이다.

trigger('trans', [
  state(
    'open',
    style({
      opacity: 1,
      color: 'red'
    })
  ),
  state(
    'close',
    style({
      opacity: 0,
      color: 'blue'
    })
  ),
  transition('* => *', animate('0.3s ease'))
])

아래 transition 함수를 추가했고, 모든 상태에서 상태로 이동할 때 0.3s ease의 애니메이션을 실행한다. 즉 상태가 변할 때 트랜지션은 0.3초간 실행된다.

<app-transition-text [@trans]="active ? 'open' : 'close'"></app-transition-text>

트랜지션 대상이 될 DOM에 [@트리거 이름] 형태로 트랜지션을 적용한다. active 값에 의해 트랜지션 상태가 지정된다.

<button (click)="handleClick()">Transition {{ active | activeText }}</button>

위는 active 값을 조작할 버튼이다. 버튼을 누르면 active 값이 트리거된다. 이제 버튼을 누르면 아래 트랜지션 대상이 될 컴포넌트는 빨간색이 되거나 파란색이 되거나 투명도가 있다 없거나하는 트랜지션이 적용되었다.

비교

Vue에서의 트랜지션은 앵귤러에서 적용하는 것 만큼 어렵지 않다.

<template>
  <div>
    <button @click="active = !active"></button>
    <transition name="fade">
      <div v-if="active">Hello World</div>
    </transition>
  </div>
</template>

<style lang="scss" scoped>
.fade {
  &-enter-active,
  &-leave-active {
    transition: opacity 0.3s ease;
  }

  &-enter,
  &-leave-to {
    opacity: 0;
  }

  &-enter-to,
  &-leave {
    opacity: 1;
  }
}
</style>

Vue에서는 active 값의 변화가 있으면 감싼 transition 컴포넌트의 트랜지션이 일어난다. 어찌보면 앵귤러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Vue가 좀 더 깔끔하게 트랜지션을 작성할 수 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CSSTransition } from 'react-transition-group'

const Transition: React.FC = () => {
  const [active, setActive] = useState()

  return (
    <div>
      <CSSTransition in={state} timeout={200} className="transition-classes">
        <div>Hello World</div>
      </CSSTransition>
    </div>
  )
}

export default Transition

리액트에서는 react-transition-group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트랜지션을 적용시킬 수 있다. CSS를 작성해서 트랜지션을 적용시킬 수 있고, 상태 값으로 스타일을 조작하는 방식도 제공한다.

3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들의 트랜지션 적용 방식에 대해서 비교해보았을 때 리액트는 성격이 좀 다르지만, 상태 값을 이용해 트랜지션을 작동시키는 형태이다.